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기타자료

기타자료

조회 수 199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도동서원

 

도동서원()은 한훤당() 김굉필(, 1454∼1504)의 도학과 덕행을 숭앙하기 위해 세운 서원으로, 현재 대구광역시 달성군 구지면 도동리 35에 있다. 현풍에서 구지면사무소를 지나 낙동강을 오른편에 끼고 약 4㎞쯤 가면 닿는 곳이다.

도동서원은 원래 1568년(선조 1)에 현풍 비슬산 기슭 쌍계동에 건립되었으나, 1597년 정유재란으로 소실되자 1605년(선조 38) 지금의 자리에 '보로동서원'으로 이름을 바꾸어 중건되었고, 1607년에 '도동서원'으로 사액을 받았다. 이황은 김굉필을 두고 '동방도학지종()'이라고 칭송했는데, '도동()'으로 사액한 것도 공자의 도가 동쪽으로 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도동서원 원경

도동서원 원경

도동서원은 앞으로 낙동강을 굽어보는 작은 구릉 위에 동북향을 하여 자리잡았다. 서원 앞에는 수령이 오래된 은행나무가 서 있고, 그 뒤로 자연 지세에 어우러지며 서원이 조성되었다.

도동서원이 건립된 현풍 땅과 김굉필이 관계를 맺게 된 연유는 증조부 김중곤이 현풍 곽씨 가문에 장가를 들어 현풍에 정착하면서부터이다.

성장기를 현풍면 대니산 남쪽 솔례촌에서 보낸 한훤당은 호탕하게 놀기를 좋아하고 거리낌이 없었는데, 18세 때 합천군 야로에 있는 집안에 장가들면서 처가 근처 계곡에 '한훤당'이라는 조그마한 서재를 짓고 학문에 열중하게 된다. 이때 인근에 위치한 함양에 군수로 있던 점필재() 김종직(, 1431∼1492)의 수제자가 되어 『소학()』을 배우면서 정몽주­김종직­김굉필로 이어지는 조선 성리학의 맥을 잇게 된다.

김굉필은 26세 때 과거에 급제하여 관직 생활을 하다가 1498년(연산군 4) 무오사화 때 김종직의 일파로 지목되어 평안도 희천에 유배되었다. 후에 전라도 순천에 이배되었다가 1504년 갑자사화() 때 사약을 받았으나 중종반정() 후에 명예를 회복하였다.

도동서원은 대니산의 한줄기가 서북으로 뻗어내린 끝자락의 북쪽 기슭에 북향하여 자리잡고 있다. 앞으로 낙동강 건너 고령 땅 개진들이 넓게 펼쳐진 곳이다. 서원 앞에는 보호수로 지정된, 수령이 오래된 은행나무가 있고, 그 뒤로 비교적 경사가 급한 지형을 따라 서원이 조성되어 있다.

도동서원 배치도

도동서원 배치도

서원을 구성하는 건물들은 반듯하게 설정한 중심축을 따라 수월루(), 환주문(), 중정당(), 내삼문, 사당이 차례로 배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중심축에는 이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한 통로와 계단이 자리하고 있다. 이는 성리학을 집대성한 주자가 말한 추뉴(), 즉 만물의 축과 중심성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이와 같이 도동서원의 전체적인 건축 구성과 배치 형식은 우리나라 서원건축 중 가장 규범적이고 전형적이며, 건축적 완성도와 공간 구성도 우수하다. 특히 1600년대에 건립된 강당과 사당 등 건물들은 당시 서원과 사묘건축을 대표할 만큼 매우 훌륭한 짜임새와 수법을 보이고 있고, 서원을 둘러싼 담과 석물들도 우수하여 이들 모두 보물 제350호로 지정되었다.

수월루

수월루

문루인 수월루는 공부하던 유생들이 답답한 마음을 후련하게 풀던 곳으로, 1888년(고종 25)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1973년에 중건되었다. 물 위에 비친 달빛으로 글을 읽는다는 뜻을 가진 수월루의 건축적 품격은 서원 내 다른 건물들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편이지만, 난간을 두른 2층 누마루에 오르면 넘실거리는 푸른 강물과 서원 주변의 경관이 한눈에 들어오는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서원 정문인 환주문은 맞담에 세운 규모가 작은 문으로서 사모지붕이다. '환주()'는 '내 심성의 주()가 되는 근본을 찾아 부른다'는 뜻을 가졌다.

수월루에서 앞으로 내다본 전경

수월루에서 앞으로 내다본 전경

중정당에서 수월루쪽으로 바라본 모습

중정당에서 수월루쪽으로 바라본 모습

수월루 뒤에는 서원 정문인 환주문이 있고, 그 뒤로 강당인 중정당 앞 마당에 닿는다.

중정당은 강당 건물로, '중정()'은 음과 양이 조금도 지나치거나 모자람이 없이 조화를 이루고 있는 중용의 상태를 말한다. 중정당 기단은 크기와 색깔이 다른 돌들이 빈틈없이 서로 맞물려서 일체가 되어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그 사이로 용두석을 배치하고, 기단 윗부분에는 크기가 다른 꽃송이가 좌우에 나란히 조각되어 상징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강당 앞마당 좌우에는 동재와 서재인 거인재()와 거의재()가 대칭을 이루며 마주보고 있다. 강당 왼쪽인 북쪽으로는 생단이 있는데, 향사 전날 제관들이 제수로 쓸 생()을 올려놓고 품평을 하는 장소이다.

강당 뒤 가파른 계단을 오르면, 내삼문이 서 있고, 그 뒤에는 담으로 두른 일곽에 사당이 있다. 사당에는 김굉필을 주벽으로 하여 한강() 정구(, 1543∼1620)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으며, 좌우에는 자연으로 돌아가 자연과 하나되기를 원하는 김굉필의 도학정신을 표현한 벽화 두 점이 있다. 제향 후에 축문을 태우는 망례위는 일반적으로 석물로 지상에 조성되는데, 도동서원의 경우는 사당 서편 담에 작은 구덩이처럼 생긴 감()이 설치되어 있다.

중정당 기단

중정당 기단

도동서원 강당인 중정당 기단은 크기와 색깔을 달리하는 돌들이 서로 잘 맞물려 일체를 이루고 있다.

생단

생단제수로 쓸 생()을 품평하는 도동서원의 생단은 강당 왼쪽에 위치하고 있다.

 

 

         

다람재에서 바라본 도동서원 전경 | 출처: 대한민국구석구석 여행이야기

[네이버 지식백과]도동서원 (한국 미의 재발견 - 궁궐 · 유교건축, 2004. 11. 30., 이상해)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 서원문화의 재발견: 병산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128
17 서원문화의 재발견: 필암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63
16 서원문화의 재발견: 돈암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104
15 서원문화의 재발견: 남계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100
14 서원문화의 재발견: 도산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158
13 서원문화의 재발견: 옥산서원 소개 1 관리자 2019.09.17 94
12 서원문화의 재발견: 소수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105
» 서원문화의 재발견: 도동서원 소개 관리자 2019.09.17 199
10 열녀서씨포죽도 중모기(烈女徐氏抱竹圖 重摹記) 관리자 2018.02.28 121
9 <열녀서씨포죽도>의 사연 file 서정우184 2018.02.28 390
8 <열녀서씨 포죽도>와 화산관 이명기의 그림 세계<출처:작가 도병훈> 서정우184 2018.02.28 429
7 봉화지역의 명문가 - 달성서씨(봉화일보 발췌) 서정우184 2018.02.28 170
6 고려.조선시대의 관작 및 벼슬(가나다 순) 1 서일수371 2017.11.07 1375
5 관향(貫鄕)으로 사용되는 옛 지명(地名) 정리 서일수371 2017.10.17 603
4 동양/세계사 역사연대표 file 관리자 2017.07.22 408
3 왕조재위기간표 file 관리자 2017.07.20 132
2 장위공 서희선생 묘소 위치도 file 관리자 2016.02.29 78
1 이천서씨 시조 아간공 묘소 위치도 file 관리자 2016.02.29 106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