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경기도(京畿道)

▸양천(陽川) : 공암(孔巖) 제양(齊陽) 파능(巴陵) 양평(陽平) 양현(陽縣)

▸시흥(始興) : 곡양(穀壤) 금주(黔州) 금천(黔川) 금천(衿川) 금과(衿果) 금양(衿陽)

▸과천(果川) : 과림(果林) 부안(富安) 과부(果富) 임진(林津) 과주(果州)

▸광주(廣州) : 남한(南漢) 한산(漢山) 회안(淮安) 봉국(奉國) 한주(漢州) 광릉(廣陵)

▸고양(高陽) : 고봉(高峯) 행주(幸州) 개백(皆伯) 우왕(遇王) 지봉(至逢) 덕양(德陽) 중자산(中子山)

▸부평(富平) : 수주(樹州) 안남(安南) 계양(桂陽) 길주(吉州) 장성(長城) 황어(黃魚)

▸양주(楊州) : 견주(見州) 창화(昌化) 내소(來蘇) 한양(漢陽) 풍양(豊壤) 사천(沙川)

▸김포(金浦) : 금포(黔浦) 금릉(金陵) 계양(桂陽)

▸용인(龍仁) : 구성(駒城) 거서(巨黍) 멸오(滅烏) 용구(龍駒) 처인(處仁)

▸인천(仁川) : 군성(郡城) 경원(慶源) 인주(仁州) 이포(梨浦)

▸파주(坡州) : 파평(坡平) 영평(鈴平) 봉성(峯城) 서원(瑞原) 원평(原平) 곡성(曲城) 파산(坡山) 임진(臨津)

▸교하(交河) : 선성(宣城) 굴화(屈火) 원화(原火) 심악(深岳) 석잔(石棧)

▸수원(水原) : 한남(漢南) 수성(隋城) 매홀(買忽) 수성(水城) 수주(水州) 쌍고(雙阜) 청구(靑邱) 내미(內彌) 쟁홀(爭忽) 영음(令音) 종덕(宗德) 정송(貞松) 오타(五朶) 계석(桂石) 양간(陽干) 사량(沙梁) 분촌(盆村) 심곡(深谷) 공촌(公村) 용성(龍城) 광덕(廣德) 유제(楡梯) 주석(柱石) 사정(奢井)

▸통진(通津) : 분진(汾津) 수안(守安) 동성(童城) 비사(比史)

▸포천(抱川) : 풍홀(馮忽) 견성(堅城) 포주(抱州) 청화(淸化)

▸남양(南陽) : 익주(益州) 당성(唐城) 당은(唐恩) 강녕(江寧) 영제(寧堤) 대양(戴陽) 화양(花梁)

▸강화(江華) : 화구(火口) 해구(海口) 심주(沁州) 강도(江都) 하음(河陰) 진강(鎭江)

▸장단(長湍) : 온천(溫川) 야야(耶耶) 송림(松林) 단주(湍州) 임단(臨湍) 장임(長臨) 임진(臨津) 임강(臨江)

▸양근(楊根) : 항양(恒陽) 빈양(濱陽) 영화(永化) 익화(益和) 미원(迷源)

▸진위(振威) : 부산(釜山) 연달(?達) 영신(永新) 송장(松莊)

▸적성(積城) : 칠중성(七重城) 내별중성(乃別重城)

▸양지(陽智) : 양양(陽良) 양산(陽山) 추계(秋溪) 고안(高安)

▸가평(加平) : 가평(嘉平) 근평(斤平) 병평(幷平) 조종(朝宗)

▸이천(利川) : 남천(南川) 황무(黃武) 남매(南買) 영창(永昌)

▸영평(永平) : 동음(洞陰) 양골(梁骨) 영흥(永興) 유석(乳石)

▸연천(漣川) : 웅섬(熊閃) 장주(瀁州)장주(瀁州) 연주(漣州) 장포(獐浦)

▸양성(陽城) : 적성(赤城)

▸개성(開城) : 개주(開州) 개경(開京) 황도(皇都) 송경(松京) 송도(松都)

▸지평(砥平) : 지현(砥峴) 지제(砥堤)

▸죽산(竹山) : 개산(介山) 음평(陰平) 연창(延昌) 죽주(竹州)

▸안성(安城) : 백성(白城)

▸마전(麻田) : 임단(臨湍) 니사(泥沙) 파홀(波忽) 마전천(麻田淺)

▸여주(驪州) : 영의(永義) 황려(黃驪) 여강(驪江) 여흥(驪興) 여성(驪城) 황리(黃利) 등신(登神) 천녕(川寧)

▸풍덕(豊德) : 해풍(海豊) 덕수(德水) 승천(昇天) 하원(河源) 정주(貞州)

▸교동(喬棟) : 대운(戴雲) 고림(高林)

▸음죽(陰竹) : 설성(雪城)

▸삭녕(朔寧) : 소읍(所邑) 삭읍(朔邑) 안삭(安朔) 승령(僧嶺) 비물(非勿) 동량(橦梁)

 

▣충청도(忠淸道)

▸평택(平澤) : 팽성(彭城) 하입(河入)

▸직산(稷山) : 위례성(慰禮城) 사산(蛇山)

▸천안(天安) : 소태(蘇泰) 풍세(豊歲) 돈의(頓義) 모산(毛山) 신종(新宗) 안읍(安邑) 덕흥(德興) 환주(歡州)

▸아산(牙山) : 아술(牙述) 음봉(陰峯) 음잠(陰岑) 인주(仁州) 영인(寧仁) 아주(牙州) 덕천(德泉)

▸신창(新昌) : 굴직(屈直) 기양(祈梁) 온창(溫昌) 창성(昌城)

▸진천(鎭川) : 상산(常山) 의녕(義寧) 창의(彰義) 진주(鎭州) 강주(降州) 황양(黃壤) 흑양(黑壤) 신지(新知)

▸목천(木川) : 목주(木州) 신정(新定) 목록(木麓)

▸음성(陰城) : 잉홀(仍忽) 설성(雪城) 파천(巴川)

▸전의(全義) : 구지(仇知) 금지(金池) 전기(全岐) 전성(全城)

▸온양(溫陽) : 온창(溫昌) 온수(溫水) 온천(溫泉) 온정(溫井)

▸예산(禮山) : 오산(烏山) 고산(孤山) 문석(文石) 화물(化物)

▸충주(忠州) : 감물(甘勿) 이차탄(伊次呑) 광반석(廣反石) 충원(忠原) 창화(昌化) 조성(藻城) 소잉림(所仍林) 태원(太原) 익양(翼陽) 덕산(德山) 국원(國原) 중원(中原)

▸괴산(槐山) : 괴양(槐壤) 괴주(槐州) 시안(始安) 모곤(毛坤)

▸대흥(大興) : 임존(任存) 금주(今州) 임성(任城) 거변(居邊)

▸청안(淸安) : 청연(淸淵) 도서(道西) 도안(道安) 청당(淸塘) 염곡(念谷) 난곡(亂谷)

▸덕산(德山) : 금물(今勿) 금무(金武) 덕풍(德豊) 이산(伊山) 마시산(馬尸山) 신곡(新谷)

▸연기(燕岐) : 전기(全岐) 잉지(仍只) 연산(燕山) 연주(燕州)

▸청주(淸州) : 상당(上黨) 낭비(娘臂) 서원(西原) 청주(靑州) 낭성(琅城) 전절(全節) 배음(拜音) 간신(間身) 조풍(調豊) 덕평(德平) 청천(靑川) 남계(南界) 추자(楸子)

▸홍주(洪州) : 운주(雲州) 지주(知州) 안평(安平) 해풍(海豊) 해흥(海興) 홍양(洪陽) 신평(新平) 고구(高丘) 흥양(興陽) 여양(驪陽) 정성(政聲) 운천(雲川) 용화(用和) 용천(龍泉) 궁경(躬耕) 태산(太山) 합덕(合德)

▸면천(沔川) : 혜군(槥郡) 혜성(槥城) 마산(馬山) 종해(宗海) 면주(沔州)

▸결성(結城) : 결기(潔己) 결성(潔城) 결주(潔州) 평성(枰城) 안흥(安興)

▸해미(海美) : 정해(貞海) 여미(餘美) 여촌(餘村) 여읍(餘邑) 잠양(岑陽) 지성(枳城) 소당(炤堂) 염솔(鹽率) 염정(鹽貞) 사곡(寺谷)

▸제천(堤川) : 내토(奈吐) 내제(奈堤) 의천(義川) 의원(義原) 제주(堤州)

▸공주(公州) : 웅천(熊川) 웅주(熊州) 웅진(熊津) 안도(安都) 공산(公山) 유성(儒城) 신풍(新豊) 덕진(德津) 양화(良化) 귀지(貴智) 난부(亂釜) 금생(金生) 갑촌(甲村) 복수(福水) 촌개(村介) 모산(摸山) 회도(懷道)

▸연풍(延豊) : 상모(上毛) 장연(長延) 장풍(長豊)

▸청양(靑陽) : 고양(古良) 부리(夫里) 청무(靑武)

▸문의(文義) : 모산(牟山) 연산(燕山) 문산(文山)

▸청풍(淸風) : 사열(沙熱)

▸회덕(懷德) : 양술(兩述) 오천(鰲淺) 비풍(比豊)

▸서산(瑞山) : 기군(基郡) 부성(富城) 서령(瑞寧) 서주(瑞州) 성연(聖淵) 인정(仁政) 지곡(地谷) 안면(安眠) 화변(禾邊) 정소(井所) 광지(廣地) 금암(金巖)

▸회인(懷仁) : 미곡(未谷) 매곡(昧谷)

▸정산(定山) : 열기(悅己) 열성(悅城)

▸당진(唐津) : 대수지(代首只) 부지(夫只)

▸보령(保寧) : 신촌(新村) 신읍(新邑) 유성(柚城) ?안(?安) 신성(新城)

▸진잠(鎭岑) : 진현(眞峴) 진령(鎭嶺) 사성(祀城) 정성(貞城)

▸영춘(永春) : 자춘(子春) 을아조(乙阿朝)

▸단양(丹陽) : 적성(赤城) 적산(赤山) 단산(丹山) 단구(丹丘)

▸남포(藍浦) : 사포(寺浦) 옥산(玉山)

▸노성(魯城) : 니산(尼山) 니성(尼城) 노산(魯山) 은산(恩山) 저정(猪井)

▸부여(扶餘) : 반월(半月) 사비(泗沘) 여주(餘州)

▸보은(報恩) : 보령(保齡) 삼산(三山) 보령(保令) 임언(林堰)

▸태안(泰安) : 소태(蘇泰) 소주(蘇州) 순성(蓴城) 소성(蘇城)

▸석성(石城) : 진악산(珍惡山) 석산(石山)

▸임천(林川) : 가림(加林) 가림(嘉林) 임주(林州) 고다지(古多只)

▸연산(連山) : 황산(黃山) 은산(恩山) 광소(廣炤)

▸은진(恩津) : 덕은(德恩) 덕은(德殷) 덕근(德近) 신포(薪浦) 시진(市津) 채운(彩雲)

▸옥천(沃川) : 고시산(古尸山) 관성(管城) 옥주(沃州) 양산(陽山) 소리(所利) 안읍(安邑)

▸홍산(鴻山) : 대산(大山) 한산(翰山)

▸비인(庇仁) : 비중(比衆) 옥전(沃田)

▸청산(靑山) : 굴산(屈山) 돌산(突山) 춘산(春山) 주성(酒城) 은계천(銀界川)

▸한산(韓山) : 마산(馬山) 마읍(馬邑) 한주(韓州) 아주(鵝洲) 거이(居爾)

▸서천(舒川) : 서림(西林) 서주(西州)

▸영동(永同) : 길동(吉同) 계주(稽州) 영산(永山) 계산(稽山) 죽주(竹州)

▸황간(黃磵) : 소라(召羅) 황청(黃靑) 황계(黃溪)

 

▣경상도(慶尙道)

▸문경(聞慶) : 관문(冠文) 관산(冠山) 문희(聞喜) 호계(虎溪) 가은(加恩) 벌천(伐川) 병곡(柄谷) 견천(絹川) 고곡(高谷) 마량(馬梁) 잉을항(仍乙項)

▸풍기(豊基) : 기주(基州) 기목(基沐) 영정(永定) 안정(安定) 은풍(殷豊)

▸함창(咸昌) : 고녕(古寧) 위녕(威寧) 고릉(古陵) 덕봉(德峯) 이안(利安)

▸용궁(龍宮) : 축산(竺山) 원산(園山) 용주(龍州) 무송(茂松) 양정(陽井) 풍양(豊壤) 하남(河南) 평구(平坵) 곡계(曲溪)

▸순흥(順興) : 급벌산(及伐山) 흥주(興州) 순정(順政) 흥녕(興寧)

▸영천(榮川) : 내녕(奈寧) 강주(剛州) 순안(順安) 영주(榮州) 구성(龜城)

▸상주(尙州) : 상주(上州) 상락(上洛) 사벌(沙伐) 상산(商山) 타아(陀阿) 중모(中牟) 영순(永順) 청리(靑里) 장천(長川) 백원(白原) 하해(河海) 생물(生物) 양녕(壤寧) 보량(保良) 연산(連山) 화녕(化寧) 산양(山陽) 관제(灌濟) 단곡(丹谷) 주선(主善) 평안(平安) 단밀(丹密) 공성(功城) 은선(銀鐥) 무림(茂林) 해상이(海上伊)

▸예천(醴泉) : 영주(永酒) 보주(甫州) 기양(基陽) 청하(淸河) 양양(襄陽) 선천(?川) 연천(連川) 파천(罷川) 보진(寶珍) 금천(金川) 효천(孝川) 다인(多仁) 수주(水酒)

▸봉화(奉化) : 봉성(鳳城) 옥마(玉馬) 매토(買吐) 물야(勿也)

▸예안(禮安) : 매곡(買谷) 선곡(善谷) 선성(宣城) 선인(宣仁)

▸안동(安東) : 고창(古昌) 영가(永嘉) 복주(福州) 능라(綾羅) 지평(地平) 석릉(石陵) 일계(一界) 화산(花山) 고녕(古寧) 고위(古浙) 창녕(昌寧) 풍산(豊山) 임하(臨河) 감천(甘泉) 영양(英陽) 춘양(春陽) 길안(吉安) 가량(加良) 일직(一直)

▸비안(比安) : 병산(屛山) 비옥(比屋) 병옥(幷屋) 안정(安貞) 안정(安定) 물실(勿失)

▸선산(善山) : 일선(一善) 숭선(嵩善) 선주(善州) 화의(和義) 해평(海平)

▸개령(開寧) : 청주(靑州) 감주(甘州) 달오(達烏) 무차(茂訍) 다질(多叱) 상조지(上鳥知) 금물도(今勿刀) 하활곡(下活谷)

▸금산(金山) : 금릉(金陵) 황금(黃金) 영명(迎命) 횡천(橫川) 조마(助馬) 어모(御侮)

▸군위(軍威) : 적라(赤羅) 효령(孝靈)

▸인동(仁同) : 수동(壽同) 옥산(玉山) 약목(若木)

▸의성(義城) : 소문(召文) 문소(聞韶) 황산(黃山)

▸성주(星州) : 성산(星山) 가야(伽倻) 신안(新安) 벽진(碧珍) 광평(廣平) 대주(岱州) 경산(京山) 흥안(興安) 명곡(椧谷) 가리(加利) 화원(花園) 영선(永善)

▸의흥(義興) : 구산(龜山) 구성(龜城)

▸지례(知禮) : 구성(龜城)

▸청송(靑松) : 청기(靑己) 적선(積善) 운봉(雲鳳) 청보(靑寶) 안덕(安德) 송생(松生) 청부(靑鳧)

▸진보(眞寶) : 진안(眞安) 보성(寶城) 재암(載巖) 청보(靑寶) 진해(眞海) 춘감(春甘) 파질(巴叱)

▸영양(英陽) : 고은(古隱) 연양(延陽) 익양(益陽)

▸신녕(新寧) : 정화(丁火) 화산(花山) 이지(梨旨)

▸고령(高靈) : 대가야(大伽倻) 영천(靈川)

▸칠곡(漆谷) : 가산(架山) 기성(箕城) 칠성(柒城) 거성(居城) 팔거(八居)

▸대구(大邱) : <삼국시대>달구화현(達句火縣) 달불성(達弗城) 위화군(謂火郡) 다사지현(多斯只縣) 설화현(舌火縣) 상화촌현(上火村縣) 치성화현(雉省火縣) 추양화현(推良火縣) <통일신라시대>대구현(大丘縣) 수창군(壽昌郡) 하빈현(河賓縣) 화원현(花園縣) 풍각현(豊角縣) 해안현(解顔縣) 현효현(玄驍縣) <고려시대>대구현(大丘縣) 수성군(壽城郡) 하빈현(河賓縣) 화원현(花園縣) 풍각현(豊角縣) 현풍현(玄風縣)

▸현풍(玄風) : 현효(玄驍) 포산(包山) 현풍(玄豊) 구지(仇知)

▸영천(永川) : 임고(臨皐) 영주(永州) 익양(益陽) 영양(永陽) 고울(高鬱)

▸하양(河陽) : 하주(河州) 화성(花城) 안심(安心)

▸초계(草溪) : 팔계(八溪) 청계(淸溪) 대여(代如)

▸경산(慶山) : 압양(押梁) 압독(押督) 장산(獐山) 장산(獐山) 옥산(玉山)

▸거창(居昌) : 거열(居烈) 거타(居陀) 아림(娥林) 제창(濟昌)

▸함양(咸陽) : 함성(含城) 천령(天嶺) 허주(許州) 함양(含陽) 마천(馬淺)

▸창녕(昌寧) : 화왕(火王) 하주(下州) 창산(昌山) 창성(昌城) 하성(夏城) 하산(夏山)

▸합천(陜川) : 대량(大良) 강양(江陽) 합주(陜州) 대야(大倻) 야로(冶爐) 구산(龜山) 말곡(末谷) 좌이(坐伊)

▸자산(慈山) : 구화(具火) 인산(仁山) 자인(慈仁)

▸영산(靈山) : 서화(西火) 상약(尙藥) 취산(鷲山) 취성(鷲城) 계성(桂城) 삼계(森溪)

▸청도(淸道) : 도주(道州) 오산(鰲山) 이산(伊山) 대성(大城) 마악(馬岳) 이서(伊西)

▸영해(寧海) : 우시(于尸) 유린(有隣) 예주(禮州) 단양(丹陽) 덕원(德原)

▸안의(安義) : 이안(利安) 마이(馬利) 화림(花林) 감음(感陰) 여선(餘善) 안음(安陰) 가을산(加乙山)

▸경주(慶州) : 진한(辰韓) 사로(斯盧) 낙랑(樂浪) 계림(鷄林) 월성(月城) 동경(東京) 금오(金鰲) 문천(蚊川)문천(蚊川) 비안곡(比安谷) 기계(杞溪) 안강(安康) 구사(仇史) 신광(神光)

▸삼가(三嘉) : 삼기(三岐) 삼지(三支) 기산(岐山) 마장(麻杖) 가수(嘉壽) 가수(嘉樹) 봉성(鳳城)

▸영일(迎日) : 임정(臨汀) 오천(烏川) 연일(延日)

▸칠원(柒原) : 칠토(柒吐) 칠제(柒堤) 구성(龜城) 무릉(茂陵) 부곡(釜谷)

▸의녕(宜寧) : 장사(獐舍) 의춘(宜春) 의산(宜山) 신번(新繁) 지산(砥山) 정골(正骨)

▸흥해(興海) : 퇴화(退火) 의창(宜昌) 곡강(曲江) 오천(鰲川)

▸영덕(盈德) : 야성(野城)

▸창원(昌原) : 의안(義安) 의창(義昌) 회산(檜山) 합포(合浦) 회원(檜原) 환주(還珠)

▸함안(咸安) : 아라(阿羅) 가야(伽倻) 함주(咸州) 금라(金羅) 사라(沙羅) 파산(巴山)

▸밀양(密陽) : 밀성(密城) 밀주(密州) 밀산(密山) 귀화(歸化) 의천(疑川) 내진(來進) 수산(守山) 풍각(豊角) 두야포(頭也浦) 이음동(伊音冬) 금음물(今音勿)

▸청하(淸河) : 아혜(阿兮) 해아(海阿) 덕성(德城)

▸장기(長鬐) : 지답(只畓) 기립(鬐立) 봉산(蓬山)

▸언양(彦陽) : 헌양(獻陽) 헌산(獻山) 거지화(居知火)

▸하동(河東) : 하남(河南) 청하(淸河)

▸산청(山淸) : 산양(山陽) 회계(會稽) 사명(四明) 산음(山陰) 개품(皆品)

▸진해(鎭海) : 팔진(八鎭) 우산(牛山)

▸진주(晉州) : 거타(居陀) 청주(菁州) 강주(康州) 진양(晉陽) 청천(菁川) 진산(晉山) 진강(晉康) 반성(班城) 악양(岳陽) 영선(永善) 살천(薩川)

▸울산(蔚山) : 하곡(河曲) 울주(蔚州) 학성(鶴城) 화성(火城) 공화(恭花) 흥려(興麗)

▸웅천(熊川) : 웅구(熊口) 웅신(熊神) 병산(屛山) 웅산(熊山) 사법(寺法) 천읍(川邑) 완포(莞浦)

▸김해(金海) : 가락(駕洛) 가야(伽倻) 금환(金宦) 임해(臨海) 금녕(金寧) 분성(盆城) 태산(太山) 금주(金州)

▸단성(丹城) : 문성(問城) 강성(江城) 진성(珍城) 적촌(赤村) 단읍(丹邑) 단계(丹溪)

▸사천(泗川) : 사물(史勿) 사수(泗水) 사주(泗州) 동성(東城)

▸양산(梁山) : 양주(良州) 의춘(宜春) 양주(梁州) 순정(順正)

▸곤양(昆陽) : 곤명(昆明) 곤남(昆南) 철성(鐵城) 곤산(昆山) 유보(有寶)

▸고성(固城) : 고주(固州) 철성(鐵城) 발산(鉢山) 곤의(坤義) 적진(積珍) 곡산(曲山) 보성(保城) 구허(丘墟) 도선(道善) 진여(珍餘) 해빈(海濱) 보안(保安) 어례(魚禮) 궤촌(궤村) 녹명(鹿鳴)

▸남해(南海) : 해양(海陽) 전산(轉山) 화전(花田) 윤산(輪山) 난포(蘭浦) 평산(平山)

▸동래(東萊) : 장산(장山) 내산(萊山) 봉래(蓬萊) 봉산(蓬山) 동평(東平)

▸기장(機張) : 갑화(甲火) 양곡(良谷) 차성(車城)

▸거제(巨濟) : 상군(裳郡) 기성(岐城) 아주(鵝州) 연정(鍊汀) 명진(溟珍) 하청(河淸) 고정(古丁) 죽토(竹吐) 송변(松邊)

 

▣전라도(全羅道)

▸여산(礪山) : 여양(礪良) 호산(壺山) 낭산(朗山) 야산(野山) 궐산(闕山) 피제(皮堤) 공촌(公村)

▸용안(龍安) : 칠성(七城) 풍제(豊堤) 창산(倉山)

▸함열(咸悅) : 함라(咸羅) 감물아(甘勿阿) 도전(桃田)

▸익산(益山) : 금마(金馬) 익주(益州) 흑석(黑石)

▸진산(珍山) : 진동(珍同) 황산(黃山) 진례(進禮) 옥계(玉溪) 진주(珍州) 횡정(橫井) 고제(高堤) 금암(金巖) 가흥(嘉興) 원산(猿山)

▸고산(高山) : 봉산(鳳山) 운제(雲梯)

▸무주(茂州) : 무산(茂山) 무풍(茂豊) 주계(珠溪) 적천(赤川) 단천(丹川)

▸금산(錦山) : 경양(景陽) 금계(錦溪) 금주(錦州) 이성(伊城) 대곡(大谷) 안성(安城) 부리(富利) 횡천(橫川)

▸임피(臨陂) : 피산(陂山) 취성(鷲城) 시산(屎山) 근문(근文) 소도(所島)

▸전주(全州) : 견성(甄城) 완산(完山) 안남(安南) 승화(承化) 이성(利城) 두모(豆毛) 경명(景明) 우주(紆州) 이성(伊城) 옥야(沃野)

▸만경(萬頃) : 두산(杜山) 두내산(豆乃山) 부윤(富潤) 니파(泥波)

▸금구(金溝) : 구지(仇知) 지산(只山) 양양(樣陽) 대율(大栗) 거야(巨野) 촉정(促政) 낭산(朗山)

▸김제(金堤) : 벽골(碧骨) 평고(平皐) 재남(才南) 마천(馬川) 명양(鳴良) 제견(堤見)

▸용담(龍潭) : 물거(勿居) 옥천(玉川) 청거(淸渠) 동향(銅鄕)

▸옥구(沃溝) : 마서(馬西) 양왕산(良王山) 회미(澮尾)

▸태인(泰仁) : 무성(武城) 인의(仁義) 태산(泰山) 대곡(大谷) 나향(羅鄕) 능향(綾鄕)

▸부안(扶安) : 개화(皆火) 부녕(扶寧) 계발(戒發) 보안(保安) 낭천(浪川) 희안(喜安) 부풍(扶豊) 고촌(鼓村)

▸임실(任實) : 청웅(靑雄) 운수(雲水) 구고(九皐) 취선(醉仙)

▸진안(鎭安) : 난진아(難珍阿) 월낭(越浪) 마령(馬靈)

▸정읍(井邑) : 정촌(井村) 초산(楚山) 답곡(畓谷)

▸고부(古阜) : 영주(瀛洲) 안남(安南) 고사(古沙) 부리(夫里) 수금(水金) 우일(雨日) 부안(富安) 황조(荒調) 덕림(德林) 독변(禿邊) 음성(音聲) 모조(毛助)

▸남원(南原) : 대방(帶方) 고룡(古龍) 용성(龍城) 거녕(居寧) 유곡(楡谷) 남전(南田) 사등(沙等) 방광(放光)

▸순창(淳昌) : 도보(道寶) 오산(烏山) 옥천(玉川) 순화(淳化) 유등(柳等) 감물토(甘勿土) 복흥(福興) 치등(置等) 대안(大安) 적성(赤城)

▸흥덕(興德) : 상자(上紫) 상질(尙質) 장덕(章德) 흥성(興城) 좌경(坐卿) 북조(北調) 남조(南調)

▸고창(高敞) : 모양(毛良) 부리(夫里) 모양(牟陽) 대양평(大良坪) 도성(陶成) 덕암(德岩)

▸장수(長水) : 고택(高澤) 장계(長溪) 이방(梨方) 양악(陽岳) 복흥(福興) 덕흥(德興) 우평(雨坪) 장천(長川)

▸옥과(玉果) : 과지(果支) 설산(雪山) 금산(金山) 흥복(興福)

▸담양(潭陽) : 추성(秋城) 담주(潭州) 원율(原栗) 정석(貞石)

▸장성(長城) : 갑성(岬城) 구진(丘珍) 이성(伊城) 오산(鰲山) 마양(馬良)

▸무장(茂長) : 무송(茂松) 송산(松山) 장사(長沙) 상노(上老) 사도(沙島)

▸곡성(谷城) : 욕내(欲乃) 욕천(浴川) 율곡(栗谷)

▸운봉(雲峰) : 모산(母山) 아영(阿英) 아용(阿容) 운성(雲城) 아요(阿要)

▸창평(昌平) : 굴지(屈支) 기양(祈陽) 명양(鳴陽) 명평(鳴平) 장평(長平) 갑향(甲鄕)

▸영광(靈光) : 무영(武靈) 임치(臨淄) 조지(造紙) 망운(望雲) 심정(深井) 회의(懷義) 홍농(弘農) 진양(陳粮) 육사(陸事) 공아(貢牙) 옥천(玉川) 삼계(森溪)

▸광주(光州) : 무진(武珍) 무주(武州) 광산(光山) 해양(海陽) 익주(翼州) 화평(化平) 무진(茂珍) 익양(翼陽) 서석(瑞石) 벽진(碧津)

▸동복(同福) : 구성(龜城) 옹성(瓮城) 복천(福川)

▸나주(羅州) : 발나(發羅) 통의(通義) 금산(錦山) 금성(錦城) 수다(水多) 반남(潘南) 복용(伏龍) 장산(長山) 여황(艅縣) 회진(會津) 안노(安老) 압해(岋海) 종의(從義) 임성(任城) 극포(極浦) 영산(榮山) 거평(居平) 손리(孫利) 반계(潘溪) 금마(金磨) 군산(群山)

▸능주(綾州) : 연미(連味) 이능(爾綾) 수죽(樹竹) 능성(綾城)

▸남평(南平) : 현웅(玄雄) 오산(烏山) 영평(永平) 철수(鐵首) 도민(道民) 철야(鐵冶)

▸구례(求禮) : 봉성(鳳城) 사등(沙等) 남전(南田) 방광(放光)

▸화순(和順) : 여미(汝湄) 오성(烏城) 여궤(汝潰) 산양(山陽) 해빈(海濱)

▸함평(咸平) : 함풍(咸豊) 다기(多岐) 모양(牟陽) 모평(牟平) 영풍(永豊) 해제(海際) 다경(多慶)

▸낙안(樂安) : 분차(分嵯) 분사(分沙) 부사(浮擄) 분령(分嶺) 낙주(洛州) 양악(陽岳) 가용(加用)

▸순천(順天) : 무평(武平) 승평(昇平) 승주(昇州) 연해(연海) 승화(昇化) 평양(平陽) 부유(富有) 율촌(栗村) 정방(正方) 진례(進禮) 별량(別良) 죽청(竹靑) 청양(靑良) 소라(召羅) 두잉(豆仍) 삼일포(三日浦) 상이사(上伊沙) 하이사(下伊沙) 가음(嘉音) 송림(松林) 이진(梨津) 팔마(八馬) 여수(麗水)

▸무안(務安) : 금주(錦州) 물양(勿良)

▸광양(光陽) : 노마(老馬) 희양(曦陽) 아마(阿磨) 본정(本井) 골약(骨若) 아마대(阿磨代)

▸영암(靈巖) : 월나(月奈) 낭천(朗川) 낭산(朗山) 송지(松旨) 곤미(昆湄) 진남(鎭南) 조지(造紙) 북평(北平)

▸보성(寶城) : 산양(山陽) 구주(具州) 진력(珍力) 조양(兆陽) 보성(保城) 사어(沙於) 야촌(冶村) 복성(福城)

▸강진(康津) : 금릉(金陵) 도강(道康) 탐진(眈津) 양무(陽武) 오산(鰲山) 칠양(七陽) 영가(永可) 평덕(平德) 수운(水雲) 대구(大口) 대곡(大谷) 운수(雲水) 명진(溟津) 고금도(古今島) 수녕(遂寧) 예양(汭陽)

▸장흥(長興) : 오차(烏次) 오아(烏兒) 정안(定安) 회주(懷州) 관산(冠山) 회녕(會寧) 안양(安壤) 장택(長澤) 정화(丁火) 어산(語山) 유치(有眞) 장릉(長陵)

▸흥양(興陽) : 고이(高伊) 고흥(高興) 고양(高陽) 영주(瀛州) 남양(南陽) 도양(道陽) 풍원(豊原) 가을평(加乙坪) 태강(泰江) 풍안(豊安) 도화(道化) 총곡(총谷) 두원(荳原)

▸해남(海南) : 한금(寒琴) 만순(漫淳) 투빈(投濱) 해진(海珍) 옥천(玉泉) 진산(珍山) 팔마(八馬) 죽산(竹山) 사라(紗羅) 구양(仇良) 황원(黃原) 옥산(玉山) 뉴천(杻川)

▸진도(珍島) : 옥주(沃州) 의신(義新) 가흥(嘉興) 임회(臨淮)

▸제주(濟州) : 탐라(耽羅) 동영주(東瀛洲) 모라(毛羅) 탐모라(耽毛羅)

▸대정(大靜)

▸정의(旌義)

 

▣강원도(江原道)

▸철원(鐵原) : 철원(鐵圓) 철성(鐵城) 동주(東州) 육창(陸昌) 창원(昌原)

▸춘천(春川) : 우수(牛首) 삭주(朔州) 광해(光海) 춘주(春州) 안양(安陽) 수춘(壽春) 봉산(鳳山) 사탄(史呑)

▸금화(金化) : 부여(夫如) 부평(富平) 화강(花江) 화산(花山)

▸안협(安峽) : 궁악(窮岳) 안상(安翔)

▸횡성(橫城) : 횡천(橫川) 황천(潢川) 화전(花田)

▸낭천(狼川) : 왕천(往川) 화음(華陰)

▸홍천(洪川) : 녹효(綠驍) 화산(花山)

▸원주(原州) : 평원(平原) 일신(一新) 정원(靖原) 익흥(益興) 성안(成安) 원성(原城) 학성(鶴城) 주천(酒泉)

▸평강(平康) : 평강(平江) 광평(廣坪) 부양(斧壤) 사정(史丁) 신촌(新村)

▸금성(金城) : 모성(母城) 익성(益城) 금양(金壤) 통구(通溝) 소수(小水) 기성(岐城)

▸이천(伊川) : 이진(伊珍) 매화산(買花山)

▸평창(平昌) : 욱오(郁烏) 백오(白烏) 노산(魯山)

▸양구(楊口) : 양구(楊溝) 양록(楊麓) 방산(方山)

▸인제(麟蹄) : 저족(猪足) 오사회(烏斯回) 서화(瑞和) 영소(靈昭)

▸회양(淮陽) : 회주(淮州) 각연성(各連城) 연성(連城) 이물성(伊勿城) 화천(和川) 남곡(嵐谷) 문등(文登) 장양(長陽)

▸영월(寧越) : 내생(奈生) 내성(奈城) 연주(延州)

▸정선(旌善) : 삼봉(三鳳) 주진(朱陳) 도원(桃源) 심봉(沈鳳)

▸통천(通川) : 휴양(休壤) 통주(通州) 벽산(碧山) 임도(臨道) 운암(雲岩) 금란(金蘭)

▸흡곡(絡谷) : 습계(習溪) 학림(鶴林) 습비곡(習比谷)

▸고성(高城) : 달홀(達忽) 풍암(豊岩) 안창(安昌) 환가(豢假)

▸강릉(江陵) : 예국(穢國) 임둔(臨屯) 명주(溟州) 동원(東原) 우계(羽溪) 연곡(連谷) 임영(臨瀛) 명원(溟源)

▸양양(襄陽) : 익현(翼峴) 이문(伊文) 익령(翼令) 덕녕(德寧) 양산(襄山) 양주(襄州) 현산(峴山) 동산(洞山)

▸간성(杆城) : 변성(邊城) 수성(守城) 수성(水城) 열산(烈山)

▸삼척(三陟) : 실직(悉直) 척주(陟州) 진주(眞珠)

▸울진(蔚珍) : 선사(仙擄)

▸평해(平海) : 기성(箕城)

 

▣황해도(黃海道)

▸금천(金川) : 굴갑(屈岬) 금릉(金陵) 강음(江陰)강음(江陰) 강서(江西) 우봉(牛峰) 화산(花山)

▸백천(白川) : 도랍(刀臘) 치악성(雉岳城) 구택(彀澤) 백주(白州) 개흥(開興) 중익(中翊) 복흥(復興) 은주(銀州)

▸토산(兎山) : 오사(烏斯) 월성(月城)

▸연안(延安) : 대곡(大谷) 영풍(永豊) 평주(平州) 연덕(延德) 동양(東陽) 염주(鹽州)

▸평산(平山) : 대곡(大谷) 영풍(永豊) 평주(平州) 연덕(延德) 동양(東陽)

▸서흥(瑞興) : 오곡(五谷) 오궐(五闕) 동주(洞州) 농서(隴西) 서성(瑞城) 옥곡(玉谷)

▸신계(新溪) : 신은(新恩) 신성(新城) 단계(丹溪) 단계(檀溪) 담주(覃州) 협계(俠溪)

▸해주(海州) : 지성(池城) 장지(長池) 폭지(瀑池) 대녕(大寧) 안서(安西) 수양(首陽) 고죽(孤竹)

▸봉산(鳳山) : 휴암(鵂巖) 서암(棲巖) 지가(池可) 봉주(鳳州) 봉양(鳳陽)

▸곡산(谷山) : 고곡(古谷) 진서(鎭瑞) 영풍(永豊) 상산(象山)

▸수안(遂安) : 저색(猪塞) 장율(獐栗) 수주(遂州) 요산(遼山)

▸강령(康翎) : 영강(永康) 백령(白翎)

▸황주(黃州) : 동홀(冬忽) 취성(取城) 고녕(固寧) 제안(齊安) 용흥(龍興) 성성(聖城) 대룡(大龍) 동울(冬鬱)

▸대녕(戴寧) : 식성(息城) 한홀(漢忽) 중반(重盤) 안릉(安陵) 안풍(安風) 안주(安州)

▸신천(信川) : 승산(升山) 승주(升州) 화산(花山) 신주(信州) 신안(信安) 신성(信城)

▸옹진(甕津) : 옹촌(瓮川) 만진(萬津) 만진(萬珍)

▸송화(松禾) : 마경(麻耕) 청송(靑松) 가화(嘉禾) 영녕(永寧)

▸장연(長淵) : 장담(長潭) 연강(淵康)

▸문화(文化) : 유주(儒州) 시녕(始寧) 문성(文城) 궐구(闕口)

▸안악(安岳) : 양산(楊山) 양악(楊岳)

▸풍천(豊川) : 굴천(屈川) 풍주(豊州) 서하(西河) 성해(成海) 안주(安州)

▸은율(殷栗) : 율구(栗口) 율천(栗川)

▸장연(長連) : 장명(長命) 연풍(連豊) 장연(長延)

 

▣평안도(平安道)

▸중화(中和) : 당악(唐岳)

▸평양(平壤)

▸순안(順安) : 평교(平郊) 순화(順和) 안정(安定)

▸강동(江東) : 송양(松壤)

▸함종(咸從) : 아산(牙山) 아선(牙善) 아성(牙城)

▸상원(祥原) : 토산(土山) 식달(息達) 금달(今達) 상산(祥山) 북산(北山)

▸영유(永柔) : 청계(淸溪) 영청(永淸) 영녕(永寧) 정수(定水)

▸자산(慈山) : 자모(慈母) 태안(太安) 자주(慈州) 문성(文城)

▸용강(龍岡) : 오산(烏山) 군악(軍岳) 황룡(黃龍) 용성(龍城)

▸증산(甑山) : 서하(西河)

▸삼등(三登) : 능성(能城) 양양(陽壤)

▸숙천(肅川) : 진원(鎭圓) 평원(平原) 숙주(肅州)

▸삼화(三和) : 우산(牛山)

▸은산(殷山) : 동창(同昌) 흥덕(興德) 경주(慶州)

▸순천(順川) : 정융(靜戎) 순주(順州)

▸성천(成川) : 졸본(卒本) 부여(夫餘) 다물(多勿) 송양(松壤) 성주(成州) 비류(沸流)

▸안주(安州) : 안릉(安陵) 밀성(密城) 식성(息城) 중반(重盤) 안비(安比) 팽원(彭原) 영주(寧州)

▸맹산(孟山) : 철성(鐵城) 철옹(鐵瓮) 맹주(孟州) 덕맹(德孟)

▸박천(博川) : 박릉(博陵) 박주(博州) 덕창(德昌)

▸영변(寧邊) : 밀운(密雲) 안삭(安朔) 연산(延山) 연주(延州) 무주(撫州) 무산(撫山)

▸개천(价川) : 연주(連州) 조양(朝陽) 익주(翼州) 안수(安水) 개주(价州)

▸가산(嘉山) : 신도(信都) 가주(嘉州) 무녕(撫寧)

▸영원(寧遠) : 영녕(永寧)

▸운산(雲山) : 운중(雲中) 달화(達化) 운양(雲陽) 위화(威化)

▸태천(泰川) : 광화(光和) 연삭(寧朔) 연삭(連朔) 태주(泰州)

▸덕천(德川) : 요원(遼原) 장덕(長德) 덕주(德州)

▸정주(定州) : 정원(定遠) 오천(烏川) 신안(新安)

▸곽산(郭山) : 장리(長利) 정양(定襄) 곽주(郭州)

▸구성(龜城) : 만년(萬年) 구주(龜州)

▸양덕(陽德) : 동양(東陽) 양춘(陽春) 양암(陽岩) 수덕(樹德)

▸선천(宣川) : 안화(安化) 통주(通州) 선주(宣州)

▸철산(鐵山) : 장녕(長寧) 동산(銅山) 철천(鐵川) 철주(鐵州)

▸희천(熙川) : 위성(威城) 청색(淸塞) 위주(威州)

▸용천(龍川) : 안흥(安興) 용주(龍州) 장흥(長興) 용만(龍巒)

▸삭주(朔州) : 영색(寧塞)

▸창성(昌城) : 장정(長靜) 창주(昌州) 니성(泥城)

▸의주(義州) : 화의(和義) 보주(保州) 포주(抱州) 파주(把州) 함신(咸新) 송산(松山) 용만(龍灣)

▸벽동(碧潼) : 벽단(碧團) 임토(林土) 음동(陰潼) 설성(雪城)

▸이산(理山) : 이주(理州) 초산(楚山)

▸위원(渭原) : 위성(渭城) 밀산(密山) 도한(都漢)

▸강계(江界) : 이언(伊彦) 석주(石州) 청원(淸源)

▸강서(江西) : 무학(舞鶴)

 

▣함경도(咸鏡道)

▸안변(安邊) : 천성(淺城) 삭도(朔道) 등주(登州) 삭방(朔方) 학성(鶴城) 팔명(八名)

▸덕원(德源) : 천정(泉井) 의천(宜川) 의주(宜州) 덕주(德州) 동모(東牟) 의춘(宜春) 춘성(春城) 용주(湧洲)

▸문천(文川) : 매성(妹城) 문주(文州) 이균(伊均)

▸고원(高原) : 덕녕(德寧) 홍원(洪原) 고주(高州)

▸영흥(永興) : 박평(博平) 화주(和州) 장령(長嶺) 화녕(和寧) 역양(歷陽) 쌍성(雙城) 당문(唐文) 정변(靜邊)

▸정평(定平) : 선성(宣城) 천정(千丁) 중산(中山) 정주(定州)

▸함흥(咸興) : 함주(咸州) 흡란(洽蘭) 함평(咸平) 함산(咸山)

▸홍원(洪原) : 홍헌(洪獻) 홍배(洪背)

▸북청(北靑) : 삼철(三撤) 청주(靑州) 안북(安北) 청해(靑海)

▸이성(利城) : 이원(利原) 시리(時利) 다보(多甫) 아사(阿沙) 관성(觀城)

▸단천(端川) : 복주(福州) 증주(甑州) 단산(端山)

▸삼수(三水) : 삼강(三江)

▸길주(吉州) : 해양(海洋) 길성(吉城) 웅성(雄城) 양궁(洋弓) 한촌(漢村) 영주(英州)

▸명천(明川) : 명원(明原)

▸경성(鏡城) : 우농(于籠) 낭목(郞木) 즉고(卽古) 치성(雉城)

▸부녕(富寧) : 석막(石幕) 부거(富居) 영산(寧山)

▸무산(茂山) : 삼산(三山) 오대(鰲載)

▸회령(會寧)

▸종성(鍾城) : 수주(愁州) 수성(愁城) 종산(鍾山)

▸온성(穩城) : 다온(多穩)

▸경원(慶源) : 공주(孔州) 광주(匡州) 추성(楸城)

▸경흥(慶興) : 공성(孔城) 공주(孔州) 예성(禮城) 광성(匡城)

▸영월(寧越)

 


  1. (주요공지사항) 현재의 수단시스템은 정식 가동시스템 입니다.

    Date2021.12.01 By관리자 Views81
    read more
  2. 달성서씨대종회 공지 : 전자대동보(CD=>USB) 무상보급 인내

    Date2018.04.01 By관리자 Views512
    read more
  3. 회원가입 및 이용 안내

    Date2018.10.19 By관리자 Views602
    read more
  4. 족보등재용 수단서식(甲/乙/丙 지)입니다.

    Date2019.09.25 By관리자 Views242
    read more
  5. 한자의 상대어(고사에 나오는 명언명구) 모음집 발간

    Date2019.02.03 By관리자 Views402
    read more
  6. 달성서씨전자족보(CD-ROM) 무상 보급 안내

    Date2018.02.26 By관리자 Views1112
    read more
  7. 1830년의 수단 통문(원문사진 포함) - 파평윤씨

    Date2019.03.13 By관리자 Views95
    Read More
  8. 2021년분 정회원 회비 납부했습니다.

    Date2021.01.14 By서범용125 Views30
    Read More
  9. 2023년

    Date2023.01.01 By서일섭71 Views47
    Read More
  10. Adobe Flash Player 서비스 종료 되어 인터넷족보 책보기를 할 수 없는데 DBook 연결 방안을 알고 싶습니다

    Date2021.01.17 By서환성933 Views53
    Read More
  11. Adobe Flash Player 종료에 따른 인터넷족보열람 복구

    Date2021.03.01 By서용진577 Views100
    Read More
  12. [열녀서씨포죽도]의 사연

    Date2018.03.03 By관리자 Views177
    Read More
  13. 徐씨와 대구大丘달성達城

    Date2021.09.24 By徐聖泰213 Views145
    Read More
  14. 徐씨와 대구大丘달성達城

    Date2021.01.15 By서성태 Views107
    Read More
  15. 戊戌年 새해 첫 분향례(구암서원 숭현사)

    Date2018.01.10 By관리자 Views212
    Read More
  16. 貫鄕으로 사용되는 옛 地名 정리

    Date2017.10.17 By서일수371 Views1325
    Read More
  17. 追先錄(추선록) - 서씨 유래

    Date2017.11.04 By서정윤396 Views404
    Read More
  18. 가입인사 드립니다

    Date2021.02.15 By서용교688 Views30
    Read More
  19. 감사합니다.

    Date2018.05.30 By김병희648 Views106
    Read More
  20. 고려 태조 왕건의 팔공산 전투와 대구의 지명 유래

    Date2018.04.12 By서정우184 Views2672
    Read More
  21. 고려.조선시대 관작 및 벼슬(가나다 순)

    Date2018.03.03 By관리자 Views1222
    Read More
  22. 관향(貫鄕)으로 사용되는 옛지명 정리(출처:달성서씨대종보)

    Date2018.03.03 By관리자 Views1420
    Read More
  23. 구암서원을 찾은 이쁘고 귀여운 병아리...

    Date2017.11.03 By서정윤396 Views85
    Read More
  24. 달성(達城), 대구(大丘), 대구(大邱)로 사용하는 본분(本分)에 대한 고찰

    Date2017.11.30 By서정윤396 Views323
    Read More
  25. 달성서씨 대종회 홈페이지 개설을 축하 합니다.

    Date2017.11.07 By서지수748 Views145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 7 Next
/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