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메뉴 건너뛰기

자유게시판

자유게시판

조회 수 2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달성서씨(達城徐氏)는 시조(始祖) 서진(徐晋)이 고려조(高麗朝)에서 봉익대부(奉翊大夫)로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고, 그의 아들 서기준(徐奇俊)과 손자(孫子) 서영(徐穎)에 이르기까지 3대(代)가 달성군(達城君)에 봉(封)해졌다.

그리하여 후손(後孫)들이 달성(達城, 현 달성공원)에 세거(世居)하며 관향(貫鄕)을 달성으로 하게 되었으며, 후대(後代)로 내려와 현감공파 서제(縣監公派 : 徐濟), 학유공파 서도(學諭公派 : 徐渡), 판서 공파 서섭(判書公派 : 徐涉), 감찰공파 서근중(監察公派 : 徐近中), 진사공파 서석련(進士公派 : 徐錫蓮), 생원공파 서석명(生員公派 : 徐錫蓂), 진사공파 서석령(進士公派 : 徐錫笭), 참판공파 서종일(參判公派 : 徐宗一), 종사랑공파 서진(從仕郞公派 : 徐震) 등 9파(九派)로 갈라져서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가문(家門)을 빛낸 대표적(代表的)인 인물(人物)로는 시조(始祖)의 증손(曾孫) 서균형(徐鈞衡)이 1360년 공민왕(恭愍王) 9년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해 간관(諫官)으로 있으면서 신돈(莘旽)의 방탕(放蕩)한 횡포(橫暴)를 탄핵(彈劾)하는 직언(直言)을 서슴치 않았고 잦은 왜구(倭寇)의 침입(侵入)에 대비(對比)한 군(軍)의 중요성(重要性)을 역설(逆說)하였으며, 그의 아들 서침(徐琛)은 정몽주(鄭夢周)의 문하(門下)에서 학문(學問)을 연마(練馬)하여 조선(朝鮮)이 개국(開國)한 후(後) 조봉대부(朝奉大夫)로 전의소감(典醫少監)을 지냈다.

서침(徐琛)의 아들 3형제(三兄弟) 중 장남(長男) 서문한(徐文翰)은 승사랑(承仕郞)으로 광흥창부승(廣興倉副丞)을 거쳐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해 현감(縣監)을 지냈으며, 차남(次男) 서문간(徐文幹)은 중시(重詩)에 올라 역시(亦是) 현감(縣監)을 역임(歷任)했고, 3남(三男) 서문덕(徐文德)은 숙부(叔父)인 송화부사(松禾府使) 서습(徐習)에게 출계(出系)하여 이조정랑(吏曹正郞) 과 만경현감(萬頃縣監)을 지냈다.

대사간(大司諫) 서충(徐衷)의 증손(曾孫) 서한정(徐翰廷 : 진사(進士) 서균의 아들)은 세종(世宗) 때 진사(進士)로 태학(太學)에서 학문(學問)을 연구(硏究)하였고, 1455년 세조(世祖 1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이 단종(端宗)을 몰아내고 왕위(王位)를 찬탈(簒奪)하자 이를 개탄(慨歎)하여 벼슬의 뜻을 버리고 가족(家族)을 데리고 영주 이산면 한성동(榮州伊山面漢城洞)으로 내려가 은거(隱居)하다가 소백산(小白山) 밑 순흥(順興)으로 옮겨 세상(世相)과 인연(因緣)을 끊고 학문연구(學問硏究)에 진력(進力)하였으며 호(號)을 돈암(遯庵)이라 하였다.

임진왜란(壬辰倭亂) 때 중봉(重峯) 조헌(趙憲)의 휘하(麾下)로 들어가 금산(錦山)의 전투(戰鬪)에서 칠백의사((七魄義士)와 함께 순절(殉節)한 서응시(徐應時)는 이조판서(吏曹判書)에 추증(追贈)되었으며, 선조(宣祖) 때 학행(學行)으로 명성(名聲)을 떨쳤던 서사원(徐思遠)은 대구지역 의병대장을 맡으셨고 이후 청안혐감(淸安縣監)에 부임(赴任)하여 정유재란에 크게 활약하시고, 학문(學問)의 진흥(振興)과 후진양성(後進養成)에 진력(進力)하였다.

그외 선조(宣祖) 때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하여 임진왜란(壬辰倭亂)이 일어나자 의병(義兵)을 모아 주사장(舟師將)으로 연전연승(連戰連勝)을 거두었던 인충(仁忠)과 병자호란(丙子胡亂) 때 김상헌(金尙憲)과 함께 화의(和義)를 반대(反對)했던 서변(?)이 유명(有名)했고, 충무공(忠武公) 이순신(李舜臣)의 막하(幕下)에서 선봉수문장(先峰守門將)으로 임명(任命)되었던 후손(後孫) 서수천(徐壽千)은 대나무로 뗏목(筏舟)을 만들어 노량 해전(露粱海戰)에서 무공(武功)을 떨쳤다.

한말(韓末)에 와서는 서화(書畵)에 탁월(卓越)하여 <팔능(八能)>으로 일컬어졌던 병오(丙五)가 있으며, 독립운동가(獨立運動家)로 대동청년당(大東靑年黨)을 조직(組織)하여 항일투쟁(抗日鬪爭)에 앞장섰던 서상일(徐相日)은, 영친왕(英親王) 결혼식전(結婚式前)에 참석(參席)했던 총독부 요인(總督府 要因)과 이완용(李完用) 등의 살해(殺奚)를 기도(氣道)하다 피체(被逮)되었던 서상한(徐相漢 : 상일의 아우)과 함께 명성을 떨쳤다.

사헌부 감찰(司憲府監察) 목렬(穆烈)의 아들 서재승(徐在承 : 종사랑(從仕郞) 서진의 12세손(世孫))은 일찌기 유학(儒學)에 전념(專念)해 시(詩)와 예학(禮學)에 정통(精通)했으며 효성(孝誠) 이 뛰어나 세인(世人)들의 칭찬(稱讚)을 받았다.

1905년 광무(光武) 9년 통사랑(通仕郞)으로 탁지부주사(度支部州事)이 되었으나 일본(日本)의 침략흉계(侵略凶計)에 의한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締結)되자 의분(義憤)을 참지(參知) 못해 의병(義兵)을 일으켜 항일투쟁(抗日鬪爭)에 앞장섰으며, 군자금(軍資金) 조달(調達)을 위하여 고향(故鄕)인 영주(榮州)로 내려가 활약(活躍)하다가 밀고자에 의해 체포(逮捕)되어 서울로 압송도중(押送道中) 영풍군 풍기읍(榮豊郡豊基邑) 창락동에서 일본헌병(日本憲兵)과 격투(激鬪)하다가 40세로 순절(殉節)하였다.

그후 그의 충절(忠節)을 기려 사림(士林)에서 충의(忠義)라 사시(私諡)하였고, 1980년 8월 14일 대한민국건국포장(大韓民國建國褒章)이 수여(授與)되었다.

근대(近代)에 와서는 죽림(竹林) 서재승(徐在承)의 장손(長孫) 서병극(徐丙極)이 전국(全國) 사림(士林)의 공의(公議)에 의해 사업비(事業費) 일체(一體)를 전담(全擔)해 경북 영풍군 단산면 사천리(慶北榮豊郡丹山面沙川里)에 백산서원(白山書院)을 건립(建立)해 전사청(典祀廳)을 비롯한 부속건물(附屬建物)을 세우고 경내(境內)의 조경(造景)과 진입(進入)로 공사(工事)를 완료(完了)하여 선조(先祖)의 위패(位牌)를 봉안(奉安)하였다.

본군(本郡)에는 이들 방후손(傍後孫)들이 봉화,물야(奉化,物野)를 비롯하여 전역(全域)에 살고 있다.

서정슬(徐庭瑟)은 1921년생(年生)으로 물야(物野)압동에서 출생(出生)하여 대학(大學)를 졸업(卒業)하고 성창기업(盛昌企業)주식회사(株式會社)사장(社長)를 역임(歷任)했다.

서석호(徐錫鎬)는 1928년생(年生)으로 물야(物野)압동에서 출생(出生)하여 부산대(釜山大)경영대학원(經營大學院)를 졸업(卒業)하고 성창기업(盛昌企業)주식회사(株式會社)상무(常務), 한국(韓國)요업(窯業)주식회사(株式會社)사장(社長)를 역임(歷任)했다.

서정달(徐庭達) 1932년생(年生)으로 봉화해저(奉化海底)에서 출생(出生)하여 경북대(慶北大)농대(農大)를 졸업(卒業)하고 재산면장(才山面長)을 역임(歷任)했다.
출처 : 봉화일보 인터넷뉴스(이흥선 칼럼)

  1. (주요공지사항) 현재의 수단시스템은 정식 가동시스템 입니다.

    Date2021.12.01 By관리자 Views79
    read more
  2. 달성서씨대종회 공지 : 전자대동보(CD=>USB) 무상보급 인내

    Date2018.04.01 By관리자 Views509
    read more
  3. 회원가입 및 이용 안내

    Date2018.10.19 By관리자 Views598
    read more
  4. 족보등재용 수단서식(甲/乙/丙 지)입니다.

    Date2019.09.25 By관리자 Views241
    read more
  5. 한자의 상대어(고사에 나오는 명언명구) 모음집 발간

    Date2019.02.03 By관리자 Views399
    read more
  6. 달성서씨전자족보(CD-ROM) 무상 보급 안내

    Date2018.02.26 By관리자 Views1107
    read more
  7. 서영배 입금완료! 정회원 등업 부탁드립니다.

    Date2021.03.04 By서영배126 Views47
    Read More
  8. 서씨의 뿌리 달성, 달성토성으로 복원되다.(동영상)

    Date2019.05.04 By관리자 Views80
    Read More
  9. 북한에 계시는 판도공 묘소 행정구역

    Date2022.02.18 By서한의774 Views170
    Read More
  10. 봉화지역의 명문가-달성서씨(출처:봉화일보)

    Date2018.03.03 By관리자 Views208
    Read More
  11. 문중 역사의 산실-구암서원[시민기자단]

    Date2019.09.14 By관리자 Views109
    Read More
  12. 등업 요청합니다

    Date2018.11.19 By서광호178 Views81
    Read More
  13. 등업 요청

    Date2023.11.30 By서우종929 Views13
    Read More
  14. 등업 신청합니다

    Date2018.02.14 By서태운581 Views51
    Read More
  15. 등업 신청 부탁드립니다

    Date2018.10.16 By서종필524 Views62
    Read More
  16. 등업 부탁드립니다.

    Date2018.03.10 By서신곤101 Views175
    Read More
  17. 등업 부탁드립니다.

    Date2018.01.12 By서태교466 Views62
    Read More
  18. 등업 부탁드립니다.

    Date2021.12.13 By서병소532 Views23
    Read More
  19. 등업 부탁드립니다

    Date2020.04.11 By서태권442 Views24
    Read More
  20. 등업 바랍니다.

    Date2018.02.15 By서대현857 Views49
    Read More
  21. 대종회 홈 페이지 개통 축하

    Date2017.10.13 By서원대57 Views66
    Read More
  22. 대전 뿌리공원 조형물

    Date2019.10.10 By서기천75 Views63
    Read More
  23. 대동보 수단용지 서식을 엑셀파일로 올려주세요

    Date2019.09.19 By서종문947 Views104
    Read More
  24. 대동보 등록 관련 문의

    Date2021.04.28 By서용진577 Views59
    Read More
  25. 대구의 연혁과 역사<출처:대구이야기>

    Date2018.04.12 By서정우184 Views175
    Read More
  26. 대구의 역사연표<출처:대구광역시>

    Date2018.04.12 By서정우184 Views157
    Read More
Board Pagination Prev 1 ... 2 3 4 5 6 ... 7 Next
/ 7